Dev Notes13 [React] 리액트에서 생각하기 리액트로 프론트 개발을 하다보면 백에서 하던 것과 조금은 다른 플로우로 코드를 짜게 된다. 리액트스러운 코드란 무엇일까 고민을 하다가, 리액트 공홈에 있는 "Thinking in React"라는 글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리액트 코드를 짤 때의 바람직한 순서를 제시하고 있다. 원문: https://react.dev/learn/thinking-in-react Thinking in React – React The library for web and native user interfaces react.dev 먼저 API에서 받아오는 JSON이 있고, 디자이너로부터 받은 설계도가 있다고 가정한다. Step 1. UI를 컴포넌트 계층으로 분해한다. 디자인에 있는 각 컴포넌트와 하위 컴포넌트에 이름을 붙.. 2023. 5. 28. [Database] MySQL 커넥터 비교하기 python에서 mysql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라이브러리들이 있다. 사용해본 두 가지로는 mysql-connector-python과 pymysql가 있는데, 이외에도 라이브러리들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 찾아보았다. mysqlclient C로 구현됨 가장 빠름 mysql-connector-c 설치 필요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들이 있음 (libmysqlclient를 사용할 수없거나, mysql protocol을 해킹하고 싶을때) pymysql 순수 python으로 작성됨 빠른 편 사용방법 import pymysql.cursors connection = pymysql.connect(host='localhost', user='user', password='passwd', da.. 2023. 5. 28. [Network] API와 gRPC vs REST API란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시스템으로 보내고 시스템의 응답을 받는 다양한 종류의 인터페이스 서비스의 통신을 돕는 중재자 REST, SOAP, GraphQL, gRPC 등의 아키텍처 스타일로 설계 *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icro Service Architecture)란? 전체 프로그램이 하나로 묶여있는 monolithic 아키텍쳐와 달리, 단일 프로그램을 각 컴포넌트 별도로 나누어 그것들의 조합으로 구축하는 방법. 각 컴포넌트는 API를 이용하여 타 서비스와 통신하며, 독립적 개발, 배포, 운영 가능 API Gateway를 통해 API 서버 앞 단에서 모든 API 서버들의 Endpoint를 묶어줌 REST (.. 2023. 5. 21. [Database] ORM과 python에서 postgresql 연결하기 ORM이란? Object Relational Mapping의 약자로, 객체 지향형 프로그램과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연결해주는 도구이다. 클래스를 사용하는 OOP와 테이블을 사용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불일치가 일어나는데 ORM 툴을 사용한다면 SQL 쿼리를 직접 작성하지 않고도 객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수 있다. 예시로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오는 SQL 쿼리문을 작성한다면 아래와 같다. SELECT id, name, email, country, phone_number FROM users WHERE id = 20 하지만 ORM 툴을 사용한다면 객체를 활용하여 간단하게 불러올 수 있다. users.GetById(20) ORM을 사용하면 가독성이 좋아지고 조작하기 쉽.. 2023. 5. 16. [React] 특정 디렉토리 내의 파일 불러오기 요즘 리액트를 만져보는 중이다. 그날그날의 팁 또는 조각 지식들을 적어보려고 한다. (그날 썼던 코드를 적어두는 것이니 혹시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디렉토리 내의 파일을 불러올 때 파일 경로를 라이브러리 임포트 하듯이 불러와야했고, 안그러면 에러도 뜨지 않고 조용히 에러가 발생했다. 본인의 경우에는 tsv와 이미지 파일을 불러와야 했다. tsv 파일 불러오기 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import DB from "./db.tsv" ... useEffect(() => { async function fetchData() { const response = await fetch(DB); const text = await response.tex.. 2023. 5. 3. Torchserve 사용 방법과 경로 설정 Torchserve는 프로덕션 환경에서 Pytorch 모델을 쉽고 빠르게 서빙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툴이다. 본 포스트에서는 도커나 아나콘다 등의 환경은 배제하고 torchserve라는 툴의 원론적인 사용 방법과 문제가 생겼었던 경로 설정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준비물 Model artifacts .bin,.pt,.pth 등의 모델 가중치 파일 config.json와 같은 형태의 모델 아키텍쳐 정보 model.save_pretrained('pytorch_model.bin'), torch.save(model.state_dict(), PATH) 등의 방법으로 저장한다. Tokenizer artifacts tokenizer_config.json, vocab.json, merge.txt,.. 등의 토크.. 2023. 4. 20. 이전 1 2 3 다음